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전체메뉴버튼

홈 > 게시판 > 세미나

세미나

[7/23 13:30] 반도체와 AI 반도체 발전 방향 (김대현 교수 초청)

김근수 | 2025-07-22 | 313

1. 제    목 : 반도체와 AI 반도체 발전 방향

2. 발 표 자 : 이종호 교수(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3. 일    시 : 2025년 7월 23일(수) 13:30 ~ 15:30

4. 장    소 : IT대학 1호관 313호

5. 초청교수 : 김대현 교수

6. 강사약력 : 

  학력: 1983-1987 경북대학교 학사(전자공학)
         1987-1989 서울대학교 석사(전자공학)
         1989-1993 서울대학교 박사(전자공학)

  경력: 1994-2002 원광대학교 전기공학부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1994-199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1998-1999 미국MIT Microsystems Technology Lab 박사후연구원
         2002-2009 경북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부교수/교수
         2008-2009 우수공학연구센터(ERC) 센터장
         2009-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2016-2017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2016-현재 IEEE Fellow (석학회원)
         2018-2022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소장
         2022-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2019-현재 공학한림원 일반회원

7. 내용요약 : 

  이제 우리는 AI 시대에 살고 있다. AI는 공공, 산업, 개인 일상, 그리고 첨단연구에까지 빠르게 확산하고 있고 함께 갈 수밖에 없는 핵심기술이 되었다. 연일 언론에서 많은 보도가 숨가쁘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AI는 필수적으로 반도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3차원 반도체 소자인 FinFET이나 GAAFET은 AI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로 사용되고 있고, 이 연산에는 DRAM을 기반으로 한HBM이 필수적이다. 
본 강연에서는 이런 반도체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AI 기술 선도에는 학습 데이터 확보, 알고리즘과 모델에 대한 기술도 중요하지만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더욱 중요해 보인다. 전력소모 감소는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온디바이스 AI에서 아주 중요하다. 이를 위한 반도체 기술이 무엇인지 논의한다. 이제 AI는 국가 경제발전 뿐 만 아니라 안보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살펴본다.

좋아요 좋아요 [ 0 ]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톡

댓글 ( 0 )

댓글 등록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