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세계적 연구 역량 입증! 교수 9명 '전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11-10 | 조회수 | 585 |
| 첨부파일 | |||||
| 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는 미국 스탠포드 대학과 엘스비어가 발표한 ‘세계 상위 2% 연구자 (World’s Top 2% Scientists)’ 명단에서 총 9명의 교수가 생애·단일연도 기준에 이름을 올렸다. 이 명단은 연구자의 논문 수, 인용 횟수, 연구 영향력 등 국제적 지표에 기반하여 매년 발표하는 지표로 세계적 권위의 평가이다.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을 통해 우리학부의 연구 역량과 국제 경쟁력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 생애 기준(Career-long) 선정(7명): 강재모, 말라페디 람모한, 벨루볼루, 양정민, 이상문, 최병조, 한동석 교수 • 최근 1년 기준(Single-year) 선정(7명): 강재모, 말라페디 람모한, 박영호, 벨루볼루, 우지용, 이상문, 한동석 교수 강재모 교수 • 연구 분야: 딥러닝 이론 및 응용, 생성형 AI, VLM/LLM, 컴퓨터 비전, 지능형 IoT(AIoT) • 성과: IEEE JSAC, IEEE GRSL, NeurIPS, CVPR 등 국제 최우수 학술대회・저널에 논문 다수 발표. 연합학습, OOD 탐지, 산업·공공 협력 연구 및 CVPR SoccerNet Challenge 경진대회 우승. MIT 대학 등 국외 유수대학과의 협업 등 말라페디 람모한 교수 • 연구 분야: 진화연산, 딥러닝, 스마트홈 및 그리드, 스마트팜 시스템 • 성과: JCR 상위 5% 우수연구교수, 진화적 학습 알고리즘과 지능형 시스템 분야에서 다수 논문 발표. 박영호 교수 • 연구 분야: 통신 및 네트워크 보안, 인증 프로토콜, 블록체인, 핀테크 • 성과: AI 보안, 양자암호, 차량/IoT 보안 분야 연구 선도, 네트워크 보안 및 블록체인 기반 정보보호 기술 다수 발표. 벨루볼루 칼리아나차크라바르띠 교수 • 연구 분야: 제어 및 추정이론, 슬라이딩 모드 제어, 신호 및 시스템 모델링 • 성과: Robust 제어/추정 분야에서 SCIE 논문 및 국제 학술서 집필. 저명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Robust and Nonlinear Control” 및 저서 출간. 양정민 교수 • 연구 분야: 임베디드시스템, 내고장성 제어, 순차머신 및 실시간 고장진단, 로봇공학 • 성과: JCR 분야 1위 저널 논문 게재, 비동기 시스템 제어 및 험지 보행 로봇 제어, 다차원 융합기술 개발과제 주도. 우지용 교수 • 연구 분야: 차세대 저항변화 메모리(RRAM, Ferroelectric memory), 3차원 크로스포인트 어레이용 선택소자, 뉴로모픽 소자·회로·시스템, 인공지능 하드웨어 플랫폼, 컴퓨팅-인-메모리(CIM), PIM(Processing-in-Memory) • 성과: 총 70편 이상의 SCIE급 논문 발표, 그 중 22편은 제1저자 논문. VLSI 등 반도체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에 논문 다수 발표. 이상문 교수 • 연구 분야: 인공지능 기반 신호처리, 응용수학, 자율주행, 물리지능 • 성과: 세계 영향력 연구자(클래리베이트 Highly Cited Researcher) 3회 선정, SCI급 논문 다수 게재, 인공지능 및 물리지능 기초연구 분야 선도. 최병조 교수 • 연구 분야: 스위치모드 파워 변환, 전력전자, 내구성 회로설계 • 성과: IEEE COMPEL Best Paper Award, 국제 파워전자 학회 및 연구그룹 선도, 전자회로 및 시스템 분야에서 다수 논문 발표. 한동석 교수 • 연구 분야: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차세대 무선통신, 신호처리 • 성과: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장, 산업협력 및 자율주행 연구 특허 다수 출원, IEEE 저널 논문 및 산업협력 프로젝트 수행. 이번 우리학부에서 다수 교수님의 선정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1. 국제적 연구 영향력 입증: 세계 상위 2%라는 기준은 각 분야에서 논문 수·피인용수·h-index 등이 고려된 것으로, 경북대 전자공학부의 연구가 단순히 국내 수준을 넘어 글로벌 스탠다드와 어깨를 나란히 함을 나타낸다. 2. 교수진의 세대·영역 확장: 생애 기준과 최근 1년 기준 모두에서 이름을 올린 것은 ‘연속성 있는 연구활동’과 ‘지금 현재의 영향력’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적이다. 3. 지역·학부 경쟁력 강화: 대구·경북 지역은 수도권 대비 연구역량 확대에 과제가 있어 왔다. 이번 선정은 지역 기반 연구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우수 인재 유치‧산학협력‧국책과제 수주 등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갖는다. 4. 융합·응용 연구로의 연결성: 전자공학, 인공지능, 제어시스템, 생체신호처리, 스마트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가 대표되었다는 점에서, 경북대 전자공학부가 단일 전공 틀을 넘어 융복합 연구허브로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에는 이 같은 기반 위에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할 수 있다. • 세계 수준의 연구그룹을 중심으로 대형 국제공동연구 과제 유치 • 스마트공장·AI제어·로봇제어 등 산업 수요형 응용 연구 강화 • 지역기업·스타트업과의 산학협력 체인 강화, 기술이전 및 창업 활성화 • 대학원생·포닥·초빙연구원의 국제화 확대 및 피인용 인프라(데이터·컴퓨팅) 강화 |
|||||
| [좋아요 1 ] | |||||



